서론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처음으로 배우는 것이 출력문이다. 그 이유는 무언가가 실행되고 나서 내 눈에 보이게 하는 것이 출력문이기 때문이다. 아래 코드들은 보기 쉽게 하기 위해 주피터를 이용하여 작성했다.
print()
사실 몇몇 개발툴에서는 아래와 같이 출력문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있기도 한다.
하지만, 숫자만 되거나 다른 개발툴에서는 먹히지 않기도 한다. 그렇기에 정상적인 방법으로 사용해야 한다.
Hello World
파이썬에서 출력문은 print() 함수를 사용한다. 이 함수를 사용하려면 함수 내부에 출력하고 싶은 내용을 적으면 된다. print(출력문 1, 출력문 2,...), 예시로 "Hello World"와 숫자를 적어보자.
위와 같이 문자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문자는 "문자열" 따옴표 안에 문자를 적거나, 숫자를 적으면 된다. 단, 문자는 나중에 배울 변수와 혼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오류가 나온다.
문자열(String)
프로그래밍에서 하나의 문자는 "문자"로 불리고, 여러 문자들의 모임을 "문자열"로 불린다.(보통 "문자"와 "문자열"을 합쳐서 "문자열"로 불린다.) 문자열에 대해 조금 더 깊게 알기 위해 아래 예시를 들고 왔다.
문자열은 따옴표이든 작은따옴표이든 상관이 없지만, 따옴표도 같이 출력하기 위해서는 print(""Hello World"")가 아니라(따옴표 사이를 문자로 인식하는 데 이 경우는 문자열이 따옴표 밖에 있기 때문이다.) 작은따옴표와 큰 따옴표를 섞어 쓰거나, 역슬래시(\, ₩(글자 폰트마다 다르나 같은 역슬래시를 의미한다.))를 사용하면 된다. print() 함수 안에 줄바꿈 안 먹히지만 " """문자열""" "(문자열 양 옆으로 따옴표 3개씩)을 사용하면 문자열 내부에서 줄바꿈을 사용할 수 있다.
역슬래시(\, ₩)
역슬래시에는 몇몇 특별한 기능들이 있다.
역슬래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역슬래시 뒤에 무언가가 와야 한다. 문자열 예시에서 봤듯이 역슬래시 뒤에 따옴표가 나오면 그 따옴표는 문자 취급을 한다. 그렇기에 역슬래시 자체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역슬래시 두 번을 사용해야 한다.\n은 enter를 의미하며, \t은 tab을 의미한다.
문자열 연산자
문자열에 더 깊게 들어가기 위한 예시이다.
보통은 문자열과 문자열 사이에는 "," 쉼표를 사용하여 구분하거나 "+" 더하기 연산자로 문자열을 이을 수 있다.(맨 위 코드는 주피터에서만 허용되는 듯하다.) 이 둘의 차이점으로 중간의 공백을 볼 수 있다. 그 외에 문자열 뒤에 "*" 곱하기 연산자를 이용하여 똑같은 문자열을 반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더하기 연산자가 안 되는 이유는 "Hello1"이 출력될지, "HelloHello"가 불명확하기 때문에 이런 연산자는 허용되지 않는다.)
슬라이싱
슬라이싱을 알기 전에 인덱싱에 대해 알아야 한다. 인덱싱이란 문자마다 번호를 부여하는 데 그 번호를 인덱싱이라 한다.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숫자를 0부터 세기 때문에 이 번호 부여도 0부터 시작된다. 슬라이싱은 문자열을 분리하는 구조이다. 슬라이싱 사용하는 방법은 문자열 뒤에 "[시작 위치:끝낼 위치:간격]"을 붙이면 된다.(시작위치의 기본(디폴트) 위치는 0, 끝낼 위치는 마지막 인덱스, 간격은 1이고, 생략 가능하다.)
슬라이싱의 특징을 살펴보면, 마지막 인덱스를 넘어서면 인식을 하지 못하고, 끝낼 인덱스의 하나 이전까지 보여준다. 인덱스에 음수값을 넘으면 문자열 뒤에서 시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H | e | l | l | l |
0 | 1 | 2 | 3 | 4 |
-5 | -4 | -3 | -2 | -1 |
추가적으로 len() 함수는 문자열의 길이가 몇인지 알려주는 함수이다.
사칙연산
기본적으로 사칙연산은 수학에서 사용하는 사칙연산과 같다.(연산자 우선순위 () > **(제곱) > /, //, %, * > +, -)
사칙연산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나눗셈이다. 위의 예시를 보면 "/" 슬래시 연산자 한번 사용 시에는 소수점까지 보이고, "//" 슬래시 연산자를 연속 두 번 사용 시 정수 부분까지 보여준다. "%" 퍼센트 연산자는 나눗셈의 나머지를 의미한다.(5/3=1.6666.... 2)
출력문 옵션
print함수에는 추가적인 기능이 있는 데, "end"와 "sep"이다. 사용하는 방법은 출력문 뒤에 "end = {넣고 싶은 값} " 혹은 "sep = {넣고 싶은 값} " 이 있다.
"end"는 문자열의 끝에 붙일 것을 넣고, "sep"는 문자 사이사이에 넣을 것을 넣는 옵션이다.("end"의 기본값(디폴트 값)은 "\n"이며, "sep"의 기본값(디폴트 값)은 " "(공백)이다.)
주석
주석이란 자신의 코드를 조금 더 이해하기 쉽게 메모하는 것이라 생각하면 편하다. 파이썬에서는 "#"로 주석 처리한다.
주석을 너무 많이 적으면 코드가 더러워져 가독성을 떨어뜨린다. 그렇기에 대부분의 경우 이해하기 쉽게 변수나 함수, 클래스 등 이름을 섬세하게 적어 주석을 적게 써 내려가야 다른 사람과 소통 혹은 자신의 코드 이해하기 좋다. 그렇기에 아래 규칙들이 존재한다.
규칙 1: 주석은 코드를 복제해서는 안된다.
규칙 2: 좋은 주석은 모호한 코드를 변명하지 않는다.
규칙 3: 명확한 주석을 작성할 수 없다는 것은 코드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규칙 4: 주석은 혼란을 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혼란을 없애야 한다.
규칙 5: 관용적인 사용에서 벗어나는 코드에는 주석을 사용하라.
규칙 6: 만일 코드를 복사해 온 것이라면 복사한 코드의 원본 소스에 대한 링크를 제공하라.
규칙 7: 가장 도움이 될 외부 참조에 대한 링크를 포함하라.
규칙 8: 버그를 수정했다면 주석을 추가하라.
규칙 9: 아직 완전하지 않은 구현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주석을 사용하라.
그 외에 쓸만한 유명한 주석으로 Todo주석이 있다. 이는 프로그래머가 필요하지만, 지금 당장 구현하기 힘들거나 더 이상 필요 없는 기능을 삭제하라는 알림, 주의 혹은 부탁 등으로 쓰이고 있다.
주섬주섬
"1. 파이썬 들어가기에 앞서"에서 말했듯이 파이썬은 초보자도 많이 사용하기에 쉽게 알아듣기 위해 쓰고 있다. 하지만, 글의 편의를 위해 전문용어를 쓰는 것이 불가피해 보인다. ㅜㅜ 글 마지막마다 "참고"로 글에서 사용된 전문용어 정의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적어둘 예정이다.
참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