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37

서울팝콘과 GXG 2025 다녀온 후기 서론이번에 서울팝콘과 GXG를 다녀왔다. 두 행사는 성격과 분위기가 꽤 달라서 비교하면서 보는 재미가 있었다.다만 일정이 겹친 탓인지 작년보다 확실히 사람이 줄어든 게 느껴졌고, 그게 장점이자 아쉬움으로 동시에 다가왔다.서울팝콘 서울팝콘은 역시나 콘텐츠의 다양성이 가장 큰 매력이다.인디 게임 부스부터 시작해서 코스프레, 버튜버, 보드 게임, XR 체험까지, 한 공간에서 여러 세계를 동시에 체험하는 느낌이었다.단순히 구경만 하는 게 아니라 직접 플레이하거나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많아서,게임 제작을 꿈꾸는 내 입장에서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많이 얻을 수 있었다. 특히 눈에 띈 건 외국인 관람객이 많았다는 점이다.이전부터 꾸준한 외국인 게스트와 외국 회사 부스 준비로 서울팝콘은 확실히 글로벌 행사로.. 2025. 9. 22.
퀘이트 3 아레나: 게임이 만든 전설의 최적화 알고리즘 배경퀘이트 3 아레나는 3D 게임이다.3D 게임을 좀 더 사실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선 빛 반사를 구현되어야 한다.빛 반사를 구현하기 위해 1/root(x)를 구해야 한다.그러나 매 틱마다 변하는 환경에 루트와 나눗셈의 사용은 컴퓨터가 감당하지 못 할 계산량을 주는 셈이다.해결 알고리즘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들은 수많은 연구를 진행하였다.그들이 해결 방법의 핵심 아이디어는 부동소수점 비트를 정수로 재해석해서 로그 근사로 “대충 맞는” 초기값을 만든 다음,뉴턴–랩슨 한 번으로 정밀도를 끌어올리는 것이다.float Q_rsqrt(float x) { float xhalf = 0.5f * x; int i = *(int*)&x; // float 비트를 int로 보기 i =.. 2025. 8. 17.
주목해야할 모바일 BM 4X 장르4X 게임은 eXplore(탐험), eXpand(확장), eXploit(개발), eXterminate(섬멸)의 네 가지 요소를 핵심으로 삼는 전략 시뮬레이션 장르이다.대표적으로 ‘문명’, ‘라이즈 오브 킹덤’, ‘탑워’와 같은 게임이 있다.이 중 라이브 서비스로 운영하는 모바일 게임의 BM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4X의 BM이 게임들의 수익성이 '리니지'보다 효과적이며 게임계에서도 이 점을 주목하고 있기 때문이다.4X BM의 가장 독보적인 특징은 계층형 과금 모델이다.소과금 유저에게는 소과금이 상대적으로 ‘가성비 있게’ 느껴지고,고과금 유저는 고과금일수록 절대적인 우위를 갖게 되는 구조다.소과금과 고과금이 즐기는 콘텐츠가 분리될 뿐더러 과금요소도 분리된다.예를 들어, 만원에 공격력 1000과 관통.. 2025. 7. 22.
디자인 패턴 - 정리 서론 디자인 패턴은 협업하는 코드 구조를 설계할 때, 효율적이고 일관된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론이다. 특히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자주 마주치는 설계 문제들을 다룰 때, 디자인 패턴은 검증된 해결책을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패턴을 이해하면 코드의 확장성, 유지보수성, 재사용성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되며, 동료 개발자들과의 공통 언어 역할도 해준다. 다만, “패턴을 위한 패턴”은 오히려 해악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적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왜 이 구조가 필요한지, 지금 이 상황에 적절한지를 고민하며 활용하는 태도가 중요하다.생성 패턴 (Creational)이름정의특징게임 예시Singleton객체를 오직 하나만 생성하고 전역에서 접근 가능하게 함전역 상태 관리,.. 2025. 6. 30.
디자인 패턴 - 행위 패턴 서론 디자인 패턴은 협업하는 코드 구조를 설계할 때, 효율적이고 일관된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론이다. 특히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자주 마주치는 설계 문제들을 다룰 때, 디자인 패턴은 검증된 해결책을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패턴을 이해하면 코드의 확장성, 유지보수성, 재사용성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되며, 동료 개발자들과의 공통 언어 역할도 해준다. 다만, “패턴을 위한 패턴”은 오히려 해악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적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왜 이 구조가 필요한지, 지금 이 상황에 적절한지를 고민하며 활용하는 태도가 중요하다.행위 패턴 행위 패턴(Behavioral Patterns)은 객체 간의 책임 분산, 소통 방식, 알고리즘 구조에 초점을 맞춘 디자인 패.. 2025. 6. 30.
디자인 패턴 - 구조 패턴 서론 디자인 패턴은 협업하는 코드 구조를 설계할 때, 효율적이고 일관된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론이다. 특히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자주 마주치는 설계 문제들을 다룰 때, 디자인 패턴은 검증된 해결책을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패턴을 이해하면 코드의 확장성, 유지보수성, 재사용성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되며, 동료 개발자들과의 공통 언어 역할도 해준다. 다만, “패턴을 위한 패턴”은 오히려 해악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적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왜 이 구조가 필요한지, 지금 이 상황에 적절한지를 고민하며 활용하는 태도가 중요하다.구조 패턴 구조 패턴(Structural Patterns)은 객체나 클래스들을 조합하여 더 큰 구조를 만들 때 사용하는 디자인 패턴군이.. 2025. 6. 30.
디자인 패턴 - 생성 패턴 서론 디자인 패턴은 협업하는 코드 구조를 설계할 때, 효율적이고 일관된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론이다. 특히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자주 마주치는 설계 문제들을 다룰 때, 디자인 패턴은 검증된 해결책을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패턴을 이해하면 코드의 확장성, 유지보수성, 재사용성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되며, 동료 개발자들과의 공통 언어 역할도 해준다. 다만, “패턴을 위한 패턴”은 오히려 해악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적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왜 이 구조가 필요한지, 지금 이 상황에 적절한지를 고민하며 활용하는 태도가 중요하다.생성 패턴 생성 패턴(Creational Patterns)은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을 다루는 디자인 패턴군으로, 어떻게 객체를 만들고, .. 2025. 6. 30.
한국 게임이 재미가 없는 이유 한국 게임은 왜 욕을 먹으면서도 계속 플레이될까?커뮤니티에 들어가 보면 한국 게임 욕이 넘쳐난다.유저들은 화를 내고, 운영진을 비난하고, 업데이트에 불만을 터뜨린다.그런데 이상한 건 그 많은 욕을 하면서도, 다음 날이면 또 같은 게임에 접속하고 있다는 점이다.게임이 싫으면 안 하면 될 텐데, 왜들 그렇게 하면서도 계속 플레이할까?이 현상에는 단순한 감정이 아닌, 경제적이고 과학적인 이유가 숨어 있다.그리고 이는 한국 게임 산업의 구조와 역사, 그리고 수익 모델에 깊이 연결되어 있다.재밌는 게임 vs 하고 싶은 게임모든 게임 회사는 결국 돈을 벌기 위해 움직인다.게임을 잘 만들어야 유저가 붙고, 유저가 붙어야 돈을 벌 수 있다.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이 있다.‘재미있는 게임’과 ‘하고 싶은 게.. 2025. 6. 9.
Git에 기록되는 정보들 서론 매우 많은 인원과 함께 팀으로 한 게임을 만들면 여러 잡설이 생긴다. 이를 검토, 검색, 연동 등 다양한 자동화로 프로젝트에 편의성을 높인다. 그러나, 이는 Git이 저장한 정보 이내에서 가능한 것이다. 그렇기에 Git은 무엇을 저장하는 지 알 필요가 있다.1. 커밋 정보 (메타데이터)각 커밋에는 다음과 같은 메타데이터가 포함돼:커밋 해시: 9fceb02 같은 고유 ID (SHA-1)작성자(Author): 코드를 처음 작성한 사람작성 시간: 작성자가 커밋을 만든 시점커밋터(Committer): 실제 저장소에 커밋을 반영한 사람 (리베이스나 PR 병합 시 다를 수 있음)커밋 메시지: 변경 내용을 요약 설명부모 커밋: 현재 커밋이 어떤 커밋에서 파생됐는지 (머지 커밋이면 부모가 2개 이상)2. 트리.. 2025. 6.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