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61 엘리언 슈터(Alien Shooter) 분석 소개 간단 소개엘리언을 섬멸하라정보스팀 /모바일 무료장르 런앤건, 핵 앤 슬래시 개발/유통Sigma Team Inc분석 전핵 앤 슬래시 장르 핵 앤 슬래시(Hack and Slash) 장르는 빠른 전투, 몰이 사냥, 강력한 성장 요소로 대표되는 액션 게임 스타일이다. 이 장르는 원래 테이블탑 RPG(예: 던전 앤 드래곤)에서 유래한 용어로, 원작에서는 스토리와 전략보다는 전투에 집중하는 플레이 스타일을 가리켰다. 하지만 비디오 게임 시대에 접어들며 빠른 액션과 몰이 사냥, 전리품 파밍이 강조된 특정한 장르로 발전했다. 몬스터를 대량으로 쓸어버리는 쾌감과 아이템 파밍의 중독성이 핵심 재미 요소다. 최근에는 다양한 장르와 결합되거나, 뱀파이어 서바이벌과 유사한 게임이 많아지면서 '뱀서류'라는 표현도 .. 2025. 3. 22. 보이지 않는 게임의 장벽 보이지 않는 게임의 장벽게임에는 보이지 않는 장벽이 존재한다.우리가 흔히 게임을 즐긴다고 생각하지만, 그 과정에는 수많은 조건이 필요하다.게임을 실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원활한 네트워크 환경, 그리고 경제적 여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게임을 제대로 경험하기 어렵다.하드웨어와 경제적 장벽게임을 실행하려면 일정 수준 이상의 하드웨어가 필요하다.PC든 콘솔이든 최신 게임을 원활하게 구동하려면 높은 성능이 요구되며, 이에 맞는 디스플레이 장비와 컨트롤러도 필수적이다.그러나 이러한 장비를 갖추는 데는 상당한 비용이 들며, 이는 경제적 부담으로 이어진다.결국,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환경 자체가 경제적 여건에 따라 달라지는 셈이다.인터넷과 네트워크 환경또한, 인터넷 환경도 중요한 요소다.많은 게임이 온라인 연결을 요구하.. 2025. 3. 16. 림버스 컴퍼니 리뷰 소개간단 소개기억을 잃은 대신 특별한 능력을 얻은 단테, 림버스 컴퍼니의 관리자가 되어 각자의 소망을 지닌 12명의 수감자와 함께 '황금 가지'를 찾는 여정을 떠난다.정보 무료, 한국어 자막 및 더빙 지원 장르턴제 전략개발/유통Project Moon리뷰 전 서브컬처 게임은 다양한 개성의 캐릭터들이 서사를 이끄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림버스 컴퍼니는 오직 12명의 캐릭터만으로 이야기를 전개한다. 그렇다면 수집 요소도 부족하고 개성도 제한적인데, 왜 서브컬처 게임으로 분류될까? 이는 인격(Personality)과 E.G.O 시스템을 이해하면 명확해진다. 이 시스템을 통해 각 캐릭터는 여러 개성을 지닌 다른 세계의 인격을 보여주며, 이를 통해 기존 서브컬처 게임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매력을 제공한다. 덕분.. 2025. 3. 16. 소녀전선 2 리뷰 소개간단 소개방사성 물질이 휘몰아 치는 근미래, 방서성 물질을 저항하는 인형과 그들을 지휘하는 지휘관이 되어 세계에 비밀을 파헤쳐나간다.정보무료, 한국어 자막 및 더빙 지원장르SRPG개발/유통Sunborn리뷰 전 수집형 RPG와 서브컬처 게임의 차이는 캐릭터에 대한 태도에서 비롯된다. 수집형 RPG는 전략과 스펙을 중심으로 캐릭터를 뽑게 하지만, 서브컬처 게임은 여기에 캐릭터의 감성을 더한다. 캐릭터의 매력을 전면에 내세워 유저가 덕질하게 만들고,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가챠를 유도하는 방식이다. 이는 입체적인 캐릭터성과 높은 유저 충성도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이다. 그러나 인간형 캐릭터가 지나치게 사실적이면 오히려 감정적인 불쾌감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이를 언캐니 밸리(uncanny .. 2025. 3. 6. 운은 게임의 전략일까? 운 기반 전략 게임 vs 순수 전략 게임게임에서 ‘운(Luck)’이 전략의 일부가 될 수 있는가에 대한 논쟁은 오래전부터 이어져 왔다.실력이 중요한 게임에서는 운이 개입하면 불공정해진다고 생각하는 반면,운이 적절히 작용하면 전략적 변수를 만들어내어 더 흥미로운 게임이 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그렇다면, 운은 게임에서 전략으로 작용할 수 있을까? 그리고 운이 개입하는 전략 게임과 순수한 전략 게임은 어떤 차이를 가질까?운과 전략의 관계 전략이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이다.일반적으로 실력 기반의 선택이 전략의 핵심이라고 여겨지지만, 운이 개입하는 게임에서도 전략적인 요소는 존재할 수 있다.예를 들어, 하스스톤(Hearthstone) 같은 카드 게임에서는 무작위로 주어지는 카드가 승패를.. 2025. 2. 18. MBTI별 게임 장르 추천 서론 게임은 단순한 오락을 넘어, 플레이어의 성향과 가치관을 반영하는 매체이다. 사람마다 게임을 즐기는 방식이 다르듯이, 성격 유형에 따라 선호하는 장르도 달라질 수 있다. MBTI 성격 유형별로 각자의 기질에 잘 맞는 게임 장르를 정리해보았다.ESTJ -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Simulation/Strategy) ESTJ는 규칙적인 시스템 내에서 최적의 결정을 내리는 데 능숙하며, 이러한 게임이 제공하는 도전 과정을 즐기는 유형이다. 현실적이고 목표 지향적이며 조직화에 능하며, 규칙과 구조를 중시하고 효율을 추구한다.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은 계획을 세우고 자원을 관리해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핵심임으로 매우 잘 어울린다. ENTJ -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 (Management/Business .. 2025. 1. 8. 한국 스팀 게임 추천 서론한국에서도 꾸준히 스팀에 여러 게임을 출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대형 회사까지 자사 홈페이지가 아닌 스팀을 통해 게임을 유통하고 있다. 그 중 영감을 불러일으킬만한 게임들을 추려 추천해보겠다.산나비 한국적인 요소와 사이버펑크 요소를 융합한 게임으로, 딸의 복수를 위해 산나비를 찾아다니는 아버지의 복수극을 다룬다. 감동적인 스토리와 독창적인 비주얼로 많은 이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스토리를 좋아하는 이들에게 추천한다.화이트 데이(white days) 한국의 고등학교를 배경으로 한 이 게임은, 화이트데이에 사랑하는 사람에게 고백하기 위해 남아있던 주인공이 의문의 사건에 휘말리면서 진행된다. 출시된 지 오래되었지만, 강렬한 임팩트 덕분에 여전히 많은 이들이 기억하고 있다. 그래픽은 오래되었지만, .. 2024. 12. 2. 게임계 복고풍 추억의 게임 열풍: 클래식 게임의 부활 최근 몇 년간 과거의 게임들이 재조명되며 새로운 인기를 얻고 있다.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국산 MMORPG "바람의 나라"를 재현한 "바람의 나라 클래식",그리고 "메이플스토리"의 빅뱅 패치 이전 버전을 되살린 "메이플 랜드" 등,옛 감성을 담은 클래식 게임들이 주목받고 있다.유저들은 한때 손에서 놓지 못했던 게임을 다시 즐기며 추억을 되새기고,이를 경험하지 못했던 세대는 신선한 감각으로 이러한 게임들을 받아들이고 있다. 향수를 자극하는 클래식 게임의 매력이처럼 옛날 감성을 복원한 클래식 게임들이 인기를 끄는 이유는 바로 유저들의 추억을 자극하기 때문이다.과거의 게임을 즐겼던 세대는 성인이 되어 어린 시절의 향수를 되새기며 자연스럽게 클래식 게임으로 돌아오고 있다 또.. 2024. 11. 23. 게임 재미 기획의 오류 게임 기획게임을 기획할 때 사람들의 재미를 생각하고 기획을 하지만, 기획하는 사람의 재미와 플레이어의 재미가 불일치하는 경우가 많아. 이런 점이 게임 기획에서 문제가 될 수 있는데, 오늘은 이런 기획의 오류에 대해 좀 더 알아볼게.게임 기획은 단순히 게임의 아이디어를 구상하는 것이 아니라,게임의 전반적인 구조, 스토리, 캐릭터, 그리고 게임 메커니즘을 모두 아우르는 작업이다.기획자는 게임이 어떻게 플레이될지를 고민하고, 어떤 재미 요소를 넣을지를 결정한다.하지만 기획자가 생각하는 재미와 실제 플레이어가 느끼는 재미는 다를 수 있어.이 점이 게임 기획에서 가장 큰 오류 중 하나야.기획자의 재미와 플레이어의 재미의 불일치기획자가 재미있다고 생각하는 요소가 실제로는 플레이어에게는 큰 흥미를 주지 않을 수 있다.. 2024. 11. 21. 이전 1 2 3 4 ···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