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31 중학생) 왜 학교 수업을 공부하는 지 모르겠어요? 주요 교과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영어를 학생들이 왜 해당 교과가 중요한지 모르고 공부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각자의 흥미와 성향에 따라 다른 교과가 더 적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주요 교과는 모든 학생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교과 - 국어에서 항상 강조하는 것이 화자의 의도 파악, 비판적 사고이다. 이는 문학이나 비문학에 국한된 내용이 아니고 일상생활에서 서로 대화를 하는 데 도움이 된다. 물론 기성 세대에서도 문제가 아예 없다고는 할 수 없지만 갓 성인이 된 mz세대들이 이 문제가 대두되고 밈이 생겨났다. 국어의 이 두 주요 개념을 제대로 교육이 되었다면 세대 간의 이해를 할 수 있고 사회에 일어나는 상황들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기보다 비판적으로 사고하여 사건의 본질을 볼 수 있을 것이다. - .. 2024. 2. 4. 슈카월드로 보는 수학의 감 최근 '슈카월드'라는 서울대 출신 경제 유튜브가 수능 1번 문제를 정석적인 풀이가 아닌 오직 수학의 감으로 푸는 모습을 보며 오랜 세월이 지나도 수학 문제를 맞추는 모습에 사람들은 감탄을 자아냈다. 해당 풀이 과정은 정석적인 풀이와 멀고 수능을 보는 학생에게 있어 1번 문제를 해당 문제와 같이 푸는 것은 시간 낭비이다. 그러나 이러한 감은 킬러 문항에서 빛을 바라며 정답에 근접할 가능성을 높여준다. 그러면 이런 수학의 감은 어떻게 키울까? ※ 여기서 수학의 감은 대강 수업을 보고 대강 이렇게 풀면 되겠다는 감이 아니다. 수학에 대해 이해하여 합리적인 추론을 하는 것을 이야기 한 것이다. 슈카가 저런 방법으로 문제를 풀 수 있었 던 거는 기본적으로 수학의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 2024. 2. 4. 공식들을 외우지 마라 공식을 외우는 것은 문제에 대해 생각 없이 공식만 넣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다. 이는 당장 시험에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중요한 시험의 어려운 문제나 해당 교과목을 활용하는 일이 생길 때 사용할 수 없다. 그럼 공식을 외우지 않으면 어떻게 해야할까? 정의에 집중하라! 학생들이 지루해서 혹은 핀 포인트를 잘 못 잡아서 지나고 가는 "정의"에 집중을 해야한다. 예를들어, 속력이나 전류 등의 공식은 매우 간단하지만 이를 외워야 한다며 무당벌레를 그리면서 공식을 외우게 한다. 하지만 정의를 생각하면 어려운 공식도 아닐 뿐더라 해당 공식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 것이다. 속력은 어느 물체든 일정 시간 당 이동한 거리를 의미한다. 이때 "시간 당 거리"를 공식으로 풀어보면 "속력 = 거리 / 시간"이라는 공식이 자연.. 2024. 2. 4. 게임 속 공간에서 오는 재미 서론 게임에서 빠지지 않는 요소 중 하나인 "공간", 우리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게임 속 공간을 받아들이고 탐구하고 탐색한다. 공간은 게임의 몰입도를 더욱 높여주고 플레이어를 돌아다니게 만듦으로써 게임에 정을 들게 하고 이 공간들을 활용해 플레이어가 재미를 느낀다. 하지만, 최근에 자동 이동이나 부실한 오픈월드 게임 등이 공간에서 오는 장점들을 지우고 있다. 공간 공간은 어떤 물질 또는 물체가 존재할 수 있거나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 장소이다. 일반적으로는 당연하게 생각하거나 깊게 생각하지 않지만, 공간의 성질에 대한 이해는 철학자들과 과학자들에게 있어 항상 중요한 과제였다. 이 분들의 연구와 다양한 문화 그리고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공간은 현실 세계뿐만 아니라 인터넷 세계까지 확장되어 공간이 주.. 2023. 4. 3.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